교육 컨텐츠를 위한 참조 사전
구축 사전의 부가 정보
온토러스에는 용어명 이외에 용어의 부가설명, 관계용어와의 참조정보가 구축되어 있으며
사전적 정의 이외에 북한어를 포함하여 각 지역별 방언 정보가 기술되어 있습니다.
구축 사례
용어명 | 부가설명 | 관계 | 참조 | 관련용어명 |
---|---|---|---|---|
가닥이다 | 1) 『방』 ‘까닥이다’의 방언(제주). | USE | /방언(제주) | 까닥이다(고개를움직이다) |
가달 두새 | 1) 『방』 ‘샅’의 방언(함북). | USE | /방언(함북) | 샅(두허벅다리가갈라지는사이) |
가달배이 | 1) 『방』 ‘가닥’의 방언(강원). | USE | /방언(강원) | 가닥(갈려나온낱낱의줄) |
가달석 | 1) <방언> ‘굴레’의 방언(제주). | USE | /방언(제주) | 굴레(고삐에걸쳐얽어매는줄) |
가대 | 1) 『방』 ‘갈대’의 방언(제주). | USE | /방언(제주) | 갈대(식물) |
가더기(써레) | "1) ‘극젱이’의 방언(강원). 2) ‘써레01’의 방언(경남)." | USE | /방언(강원,경남) | 써레(농기구) |
가덕도 등대[加德島燈臺] | "1) 가덕도 등대는 근대 서구 건축의 양식·건축재료·의장수법 등이 최초로 사용되었던 건물 중의 하나이다. 『http://www.cha.go.kr/korea/heritage/search/Culresult_Db_View.jsp?mc=KS_01_02_02&VdkVgwKey=21,00500000,21&queryText=』참조." | BTI | 시도유형문화재제50호(부산) | 부산 시도유형문화재[釜山市道有形文化財] |
가덕도 자생 동백군[加德島自生冬栢郡] | "1) 동백나무 군락은 가덕도의 국수봉과 남산의 동쪽 중앙계곡을 중심으로 해안 암벽 위 동남쪽 가파른 곳에 있다. 동백나무의 나이는 50∼100여 년으로 정도로 추정되며, 2,500그루 정도가 군락을 이루며 자라고 있다. 『http://www.cha.go.kr/korea/heritage/search/Culresult_Db_View.jsp?mc=KS_01_02_02&VdkVgwKey=23,00360000,21&queryText=』참조." | BTI | 시도기념물제36호(부산) | 부산 시도기념물[釜山市道記念物] |
가덕도 척화비[加德島斥和碑] | "1) 조선 고종 때 병인양요와 신미양요를 승리로 이끈 흥선대원군이 백성들에게 서양 세력에 대한 경계심을 드높이고자 전국 곳곳에 세우도록 한 비이다. 『http://www.cha.go.kr/korea/heritage/search/Culresult_Db_View.jsp?mc=KS_01_02_02&VdkVgwKey=23,00350000,21&queryText=』참조." | BTI | 시도기념물제35호(부산) | 부산 시도기념물[釜山市道記念物] |
가덕사 석조 여래 입상[加德寺石造如來立像] | "1) 남원시 송동면 가덕사 대웅전 안에 모셔져 있는 높이 179㎝의 불상. 『http://www.cha.go.kr/korea/heritage/search/Culresult_Db_View.jsp?mc=KS_01_02_02&VdkVgwKey=31,01500000,35&queryText=』참조." | BTI | 문화재자료제150호 | 전북 문화재자료[全北文化財資料] |
가도(?779-843:시인)[賈島] | 1) 『인명』 중국 당나라의 시인(?779~ 843). 자는 낭선(浪仙). 오언 율시에 뛰어났으며 저서에 《장강집(長江集)》, 《시격(詩格)》 따위가 있다. | TIT | 저서/저자 | 장강집(저서:가도)[長江集] |
가도(?779-843:시인)[賈島] | 1) 『인명』 중국 당나라의 시인(?779~ 843). 자는 낭선(浪仙). 오언 율시에 뛰어났으며 저서에 《장강집(長江集)》, 《시격(詩格)》 따위가 있다. | TIT | 저서/저자 | 시격(저서:가도)[詩格] |
가도배 | 1) 『방』 ‘양배추’의 방언(평북). | USE | /방언(평북) | 양배추(채소)[洋--] |
가동 관절[可動關節] | "1) 『의학』 동물의 운동 기능을 맡은 관절. 두 뼈의 끝이 마주 닿은 곳에서, 연골과 활액(滑液)의 작용으로 마찰이나 충격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. 2) 한쪽 뼈가 다른쪽 뼈에 가동적으로 결합된 뼈의 연결양식의 1종. 이 연결부가 관절이다. 3) <특수교육학>움직일 수 있는 관절(뼈마디)을 뜻한다. 인체를 구성하는 뼈들은 어떠한 형태로든 상호 연결되어 있는데, 관절이란 둘 이상의 뼈 사이의 연결 부위를 말한다. 관절은 전혀 움직임이 없는 부동관절에서부터 약간의 움직임이 있는 반가동관절, 그리고 운동성이 매우 좋은 가동관절로 구분될 수 있다. 보통 가동관절이라 하면 운동성이 많은 팔다리의 관절을 뜻한다. 가동관절을 활막성 관절이라고도 하는데 이는 관절낭이 있어 연골과 활액(滑液)의 작용으로 마찰이나 충격을 막을 수 있기 때문이다. 특수교육학>" | RT | 대응 | 부동 관절[不動關節] |
가동 무넘기[可動--] | 1)『건설』 수문으로 물의 높이를 마음대로 조절할 수 있게 만든 무넘기. | RT | 대응 | 고정 무넘기[固定--] |
가동 시간[稼動時間] | "1) <국방>컴퓨터 시스템 또는 컴퓨터 시스템에 연결되어 있는 하드웨어 장치가 가동하여 사용할 수 있는 상태에 있는 시간의 양 또는 시간의 비율. 가동 시간의 반대어는 고장 시간(downtime)이다.국방> 2) 장치가 가동하여 사용할 수 있는 시간의 양 또는 비율. 반대 용어는 고장 시간이다. 3) 아이템이 가동상태에 있는 기간." | RT | 대응 | 고장 시간[故障時間] |
가동(사람,기계가움직여일함)[稼動] | 1) 사람이나 기계 따위가 움직여 일함. 또는 기계 따위를 움직여 일하게 함. | RT | 대응 | 미가동[未稼動] |
가동교[可動橋] | 1) 『건설』<국방>함정이 자유로이 통과할 수 있도록 다리 중간을 위나 좌우로 움직일 수 있게 만든 다리. 교통량이 많은 장소나 함정의 출입이 잦은 곳에는 적합하지 않다.국방> | RT | 대응 | 고정교(다리)[固定橋] |
가동하다(사람,기계가움직여일하다)[稼動--] | 1) 사람이나 기계 따위가 움직여 일하다. 또는 사람이나 기계 따위를 움직여 일하게 하다. | RT | 대응 | 미가동하다[未稼動--] |
가두기 | 1) 『방』 ‘가랑잎’의 방언(강원, 평북, 함경). | USE | /방언(강원,평북,함경) | 가랑잎 |
가두라들다(물체가안쪽으로휘어져들어가다) | 1) <북한어> ‘오그라들다’의 방언(평북). | USE | /방언(평북) | 오그라들다(물체가안쪽으로휘어져들어가다) |
가둑 밤 | 1) 『방』 ‘도토리’의 방언(함북). | USE | /방언(함북) | 도토리 |
가둥각지 | 1) 『방』 ‘앙감질’의 방언(함북). | USE | /방언(함북) | 앙감질 |
가뒤다 | 1) 『방』 ‘갇히다’의 방언(경남). | USE | /방언(경남) | 갇히다 |
가드근하다 | 1) 『방』 ‘가든하다’의 방언(평북). | USE | /방언(평북) | 가든하다 |
활용예시
